개발을 하다보면 서버로의 요청을 할 때 주로 get과 post 방식을 많이 쓰게 된다.

 그래서 이게 뭔가 다시 단어를 재 정립 해보았다.


 GET 방식

  - 주소(URL) 뒤에 데이터의 값이 붙는다.

ex) aaa.com?search=abc&page=2 

> ?뒤에 전송값이 붙어서 가게된다.

  - 보안에 취약하다

  - 길이에 제한이 있다.(= 전송의 한계)

  - POST방식보다 빠르다


 POST 방식

  - form을 이용해 action이 취해진다.

  - GET 방식보다 보안성이 높다.

  - 크기의 제한이 없다.

  - GET방식보다 느리다.


 간단하게 둘의 차이를 정의하자면


  GET은 가져오는 것이고 POST는 수행하는 것.


 즉, 단어의 뜻 그대로 get은 웹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올때,

 post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보낼 때, 주로 사용이 된다고 보면 될것이다.


 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 p.s)  GET에 글자의 제한이 있다고 했지만,

 크롬같은 브라우저에는 제한이 없고, IE같은 경우에는 글자수에 제한이 남아있다.

 



'IT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엑셀 사진 저장하는 방법  (0) 2019.01.04

+ Recent posts